
6월8~10일 발레 <백설공주>, 국립극장, 서울발레시어터
<2004년 제 11회 무용예술상 작품상 수상작>
백설공주
I. 공연개요
■ 공 연 명 : 백설공주
■ 공연일시 : 2007년 6월 8일(금)~10일(일)
■ 공연시간 : 금 7시 30분 / 토 3시, 7시 30분 / 3시
■ 공연장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관람시간 : 110분(인터미션 20분 포함)
■ 관람연령 : 48개월 이상
■ 주 최 : 서울발레시어터 & 국립극장
■ 후 원 : CJ문화재단
■ 문 의 : 티켓링크(1588-7890), 인터파크(1544-1555),
맥스티켓(1544-1555), 서울발레시어터(02-3442-2637)
■ 티켓가격 : VIP석 7만원 / R석 5만원 / S석 3만원 / A석 2만원
■ 공연할인 :
티켓링크, 인터파크, 맥스티켓 일반회원, 국민카드 회원 : 10%
티켓링크, 인터파크, 맥스티켓 유료회원, LG텔레콤회원 : 20%
SBT발레뜨망, 단체할인(30명 이상) : 30%
경로/유공자/장애인(동반1인까지) : 50%
II. 공 연 소 개
1. 제임스전의 독창성과 자유로움으로 표현된 고전의 재해석
서울발레시어터가 명작동화를 바탕으로 제작한 창작발레 백설공주를 2003년 예술의 전당 초연이후 4년 만에 무대에 올린다. 이미 락발레 "Being 1 2 3"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봄, 시냇물", "피가로의 결혼" 등으로 그 창작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은 안무가 제임스전의 독특하고 기발한 해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2. 백설공주보다 더 아름다운 계모
백설공주보다 더 아름답고 매력적인 계모. 백설공주에 대한 끝없는 질투와 욕망을 온 몸으로 뿜어내어 관객들로 하여금 강한 카리스마를 느끼게 해준다. 제임스 전은 계모를 통해 인간의 이면에 내재된 욕망과 갈등을 끌어내려 하였으며, 이를 계모의 폭발적이고 격정적인 춤으로 승화시켰다.
3. 일곱난장이, 수호천사 되어 나타나다.
순수하고 장난끼 가득한 일곱난장이들이 제임스 전의 백설공주에서는 공주를 곁에서 지켜주는 든든한 수호천사로 등장한다. 힘없고 절망어린 눈빛으로 백설공주의 불행을 지켜보기만 했던 난장이에서 적극적으로 공주를 보호하는 수호천사로 돌변한 난장이들의 이미지 전환은 이번 공연의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III. 안 무 의 도
서울발레시어터 상임안무가 제임스 전의 <백설공주>는 동화보다 환상적이고 신화보다 극적인 발레로 동화 속 권선징악 구도를 해체하고 상상력과 희망을 담은 꿈을 보여주고자 한다. 왕비와 마녀는 인간의 이중성을, 백설공주는 인간의 우매함을, 수호천사(일곱난장이)들은 자연을 상징한다. 선한 인간도 질투심으로 인해 악한 결심을 하게 되지만 결국 자연 안에서 욕망과 갈등이 정화된다는 주제를 담았다. 무대와 의상은 대비되는 원색을 사용해 강렬하고 격정적인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더욱 돋보이게 만든다.
"인생에는 시작과 끝이 있고, 끝은 항상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새로운 시작에 즈음해서 묻어놓은 기억들을 여기에 꺼내본다."
- 백설공주를 안무하며...James -
IV. 줄거리
1막
너무나 아름다운 왕비. 거울을 보다가 백설공주가 더 아름답다는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마녀로 변한다. 왕비는 자신의 충성스런 비서에게 백설공주를 죽이라 명령하고, 비서는 백설공주를 숲으로 데려가 죽이려 하나, 숲속 동물들의 도움으로 백설공주는 목숨을 건지게 된다.
2막
백설공주는 숲속나라에서 일곱난장이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게 되고, 백설공주가 죽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왕비는 더욱 분노한다. 마녀로 변한 왕비는 대머리독수리를 시켜 독 묻은 옷과 빗을 사용하여 백설공주를 죽이려고 하나 번번이 실패하고 만다. 화가 난 마녀는 결국 직접 독이 든 사과를 들고 공주를 찾아가 죽이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유리관 속의 백설공주는 왕자의 사랑으로 다시 살아나게 되고, 왕자와 함께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
V. 서울발레시어터 소개
서울발레시어터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작품을 창작하여 무용인구의 저변확대에 기여하고자 1995년 창단되었다.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젊은 열정과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국내무용계 최초의 40회 장기공연, 한국 최초 해외 작품 수출, 50여 가지의 다양한 작품 개발 등의 성공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서울발레시어터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백설공주”(2004 무용예술상 작품상), “호두까기 인형” 등의 가족발레, 관객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 체험 프로그램인 “재미있는 발레”를 통해 발레의 대중화에 앞장서는 한편 “현존1,2,3”(1998 무용예술사선정 올해의 안무가상), “블루”와 “봄, 시냇물”(2005 올해의 예술상 무용 부문 우수상)등의 예술성 짙은 작품으로 발레단의 색깔을 찾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서울발레시어터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이외의 전국 중, 소도시 순회공연을 통하여 관객을 찾아가는 공연에 힘쓰고 있으며, 지역 어린이들과 연계하여 공연에 출연시킴으로써 지방문화 발전에도 기여하는 등 지역 간 문화의 편차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서울발레시어터의 안무가 제임스 전은 2001년 한국최초로 미국 네바다발레단에 로열티를 받고 작품을 수출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해외 문화시장 판로를 개척하는 성과를 이루었으며, 국내외 발레단과의 갈라공연 및 합동공연을 통해 국제문화교류에도 힘쓰고 있다.
서울발레시어터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를 거듭하는 단체로 2006년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을 발레로 제작함으로써 창의적이고 발전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2007년 CJ문화재단과 공식 파트너로 손을 잡고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
About JAMES JEON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이민을 간 제임스 전은 대학교 때 연극활동을 하던 중 선생님으로부터 연극을 위해선 무용을 배워야 한다는 말에 처음 발레를 시작했다. 회계학을 공부하려던 그는 발레를 배우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발레의 새로운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고, 무용을 가르치던 영국 선생님으로부터 체계적으로 공부할 것을 권유받아 뉴욕 줄리어드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발레공부를 시작한다. 졸업 후 그는 모리스베자르 발레단과, 플로리다 발레단에서 단원으로 활동하며 유니버설발레단과 국립발레단에서 솔리스트와 수석무용수 활약하던 중 전 유니버설발레단 수석무용수인 김인희와 결혼했다. 1995년 2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작품을 창작하고 무용인구의 저변확대를 목표로 하는 서울발레시어터를 창단한 후 우아한 형식을 부수고, 인간의 감정을 마음으로 직접 읽을 수 있는 독창적인 무용동작을 개발하여, 늘 짜릿한 즐거움을 선사하는 안무를 해오고 있다.
서울발레시어터 상임안무가 제임스 전
줄리어드 예술대학 졸업
전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 단원
전 플로리다 발레단 단원
전 유니버설 발레단 솔리스트
전 국립발레단 수석 무용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1998년 무용예술사선정 올해의 안무가상 수상
2004년 제11회 무용예술상 작품상 수상 <백설공주>
2005년 서울무용제 안무상 수상 <봄, 시냇물>
2005년 올해의 예술상 무용 부문 우수상 수상 <봄, 시냇물>
현 한국체육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Staff
이사장 : 임영희
단장 : 김인희
상임안무가 : 제임스 전
부단장 : 연은경
행정과장 : 강선화
기획·홍보팀장 : 노시정
기획·홍보팀 : 곽수영, 소정민
기술감독 : 여훈
국제업무담당 : 장성은
의상실장 : 김애겸
피아니스트 : 정혜연
출연진
부지도위원 : 윤미애, 전선영, 황정실, 정운식
무용수 : 조현경, 이세연, 장하연, 오지은, 김은정, 정혜령, 송경원, 최진수, 차정훈, 이동건, 하준국, 정경표, 양은지, 이명은, 김치훈, Turko Aliaksei, Astreika Volha, 원혜인, 강석원, 서동은, 김보라, 김영은, 임진, 조성원, 정이와, 한윤선, 허웅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춤추는거미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이메일 안내 | DancingSpider | 11935 | 2019.05.08 00:05 |
![]() |
춤추는거미 저작권에 관하여 | 춤추는거미 | 149305 | 2005.06.09 21:31 |
![]() |
[거미광장] 안내입니다 | 춤추는거미 | 149615 | 2004.10.01 21:54 |
2 | [홍보] SEO 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 정은재 | 2994 | 2007.10.01 10:56 |
>> |
[홍보] 6월8~10일 발레 <백설공주>, 국립극장, 서울발레시어터
![]() |
곽수영 | 3684 | 2007.05.22 22:45 |